최수환_Emptiness_Mt. Bukhan 55 x 187 x 3cm LED Plexiglass 2011
알고 보니 전원이 나갔다. 전원이 켜지면 나타났다가 전원이 꺼지면 사라지고 마는 이미지, 그것은 마치 빛과 어둠의 길항과 부침이 그려낸, 유사 이래의 천변만화의 스펙터클한 드라마를 온과 오프의 기계적인 미디어 혹은 전자 미디어 환경으로 구현한 신비주의의 현대판 버전을 보는 것 같은 착각을 불러일으켰다. 그리고 존재와 부재, 실상과 허상, 실재와 환영의 미묘한 경계를 새삼 떠올리게 했다. 그것은 순수한 환영은 아니었다. 분명 어둠 위로 자기를 부각하는 이미지, 그러면서도 실재한다고 말할 수만은 없는 이미지, 실재와 환영 사이에 존재하는 이미지, 실재를 품고 있는 환영이며 실감나는 환영이었다.
그렇다면 작가 최수환은 이처럼 실감나는 환영을 어떻게 구현하는가. 그 프로세스를 보면, 먼저 종이에 원하는 이미지를 전사한다. 그리고 그렇게 이미지가 전사된 종이를 검정색 아크릴 판에 대고, 전동 드릴을 이용해 수백수천 개의 크고 작은 미세 구멍을 뚫는 방법으로 이미지 그대로를 되살려낸다. 이미지 그대로 아크릴 판에 옮겨지는데, 이미지가 전사된 종이가 일종의 원본 내지는 원판 역할을 해 원칙적으로 에디션이 가능하다. 비록 기계적인 공정이 아닌, 철저하게 수공으로 이뤄지는 과정인 탓에 에디션 간에 미세한 차이를 포함하는 것으로 봐야 하지만, 그래서 오히려 에디션과 함께 에디션 하나하나의 오리지널리티 곧 원본성마저 담보해주는 것으로 보인다.
이렇게 판이 완성되고 나면 라이트박스를 판 뒷면에 부착해서 판 위의 구멍 사이사이로 빛이 투과되게 하는 식으로 일종의 빛 드로잉이 구현되는 것이다. 방법의 측면에서 볼 때 빛과 구멍이 작업의 핵심요소라고 할 수 있는데, 아크릴 판을 통해서 구멍을 구현하고, 라이트박스를 통해서 빛을 실현하는 것이다. 라이트박스가 빛의 원천인 셈인데, 처음에는 형광등이 장착된 라이트박스를 사용하다가, 이후 점차 초소형 LED 소자 혹은 단자가 장착된 기판을 사용해 작업이 눈에 띠게 슬림해지고 심플해진 감이 있다. 기판을 보면 기판 가장자리를 따라 LED 소자가 촘촘하게 배열돼 있고, 기판의 표면에는 가로세로의 격자무늬가 새겨져 있어서 LED 소자로부터 발해지는 빛을 반사하는 길이나 골 역할을 한다. 기판의 표면에 일종의 빛이 지나가는 길이 생기고, 그 길이 빛을 되받아 작업 전면에 빛을 고르게 분배하는 원리다.
이렇게 정리해놓고 보니 작가의 작업이 다만 기술과 수공의 결과인 것 같고, 이건 아닌데 싶은 생각도 든다. 당연하게도 작가의 작업은 이런 기술과 수공의 경계를 넘어서 보다 섬세하고 미묘한 부분을 건드린다. 이를테면 작가의 작업은 구멍 사이로 흘러나오는 빛이 그려낸 이미지에 착상한 것이다. 그런데 그 이미지는 일루전이다. 구멍도 실체가 없고(구멍은 비어있다), 실체가 희박한 것으로 치자면 빛 역시 뒤지지가 않는다. 이처럼 실체가 없거나 희박한 것들이 어우러져서 일루전을, 실감나는 환영적 이미지를 만들어낸다. 실체가 없는(혹은 희박한) 것이 실체가 있는(혹은 생생한) 것을 만들어내는 역설이 생겨나는 것. 더욱이 구멍에는 꽤나 의미심장한 의미마저 탑재돼 있다. 이를테면 구멍은 공간의 본성인 빔, 공, 허, 무의 거대담론의 지점들을 상징하고, 생명원리의 기본요소인 호흡과 숨결이 지나가는 길이며 통로를 내는 행위에 비유할 수가 있고, 안과 밖의 경계를 허물어 서로 통하게 하는 소위 탈경계의 논리를 실천하는 경우로 볼 수가 있다.
그리고 빛과 관련해선 착시효과가 주목된다. 즉 작가의 작업은 외부환경에 반응하는 이미지 혹은 형상을 보여주는데, 관객의 시선이 이동함에 따라서 마치 이미지가 미세하게 움직이는 것 같은 느낌을 준다. 일종의 옵아트 이후를, 이를테면 포스트 옵아트를 예시해주는 대목이다. 이는 아마도 일정한 두께를 갖는, 그러면서도 빛을 투과하는 아크릴 판 자체의 성질에 기인할 것이다. 말하자면 빛이 아크릴 판에 뚫려진 구멍에 되비칠 때 미세한 그림자를 만들어내고, 이로써 실제로는 평면 이미지에 지나지가 않는데 그 미세 그림자로 인해 일종의 입체 효과가 생겨나는 것. 그래서 정면에서 보면 평면이지만, 약간만 비켜서서 보면 평면 이미지가 입체로 왜곡돼 보이면서 마치 화면이 움직이는 것 같은 착시효과를 주는 것이다.
실체가 없는(혹은 희박한) 것이 실체가 있는(혹은 생생한) 것을 밀어 올리는 역설(그 역설은 흔히 텅 빈 충만을 의미하는 공간의 역설과도 통한다). 그리고 이차원의 평면 이미지를 삼차원의 입체 이미지처럼 보여주는가 하면, 더욱이 움직이는 것처럼 보이기조차 하는 착시효과. 뭔가 확하고 오질 않는가. 작가는 당신이 보는 것이 무엇인지를 묻고 있고, 본다는 것이 무슨 의미인지를 묻고 있다. 보는 것과 인식하는 것과의 차이를 건드리고 있고, 보는 것이 보이는 그대로가 아닐 수도 있다고 의심한다. 가시적인 것을 통해서 비가시적인 것을 암시하는 차원을 넘어 아예 비가시적인 것이 가시적인 것보다 더 또렷한 실체감을 얻는 차원이 열린다. 빈 것은 과연 빈 것일 뿐인가. 색즉시공공즉시색. 있는 것을 있다 하고 없는 것을 없다 하는 것은 모두 마음이 불러일으킨 욕망(착각)에 지나지가 않는다. 빛이 그린 그림, 즉 실체가 있으면서 없는 이 이상한 그림은 비어 있으면서 형상으로 들끓는 모순율의 세계, 아이러니의 세계를 열어젖힌다. 마치 천겁만겁의 업을 그림으로 도해한 만다라를 보는 것 같다(그 업의 겹겹이 사실은 일루전에 지나지 않으며, 그것이 일루전임을 깨닫는 순간, 부지불식간에 사라지고 마는, 와해되고 마는).
존재하지 않는 형상, 부재하는 형상, 말 그대로 일루전일 뿐인 이미지가 사물에 대한 인식의 문제를 건드리고 있고, 선입견을 재고하게 한다. 그리고 무엇이 진정한 실재(현상)인지를 묻는다는 점에서 현상학 혹은 현상학적 에포케와도 통한다. 광학을 매개로 현상학의 핵심에로 인도하는 일종의 광학적 현상학으로 정의할 수도 있을 것이다. 시각은 불안정하다. 시각은 때로 거짓말하기조차 한다. 외부환경에 따라서 똑같은 이미지를 다른 이미지로 인식하는 게슈탈트 이론과도 물리는 대목이다. 형상을 보여주면서 동시에 텅 빈 공간을 대면하게 하고, 실체를 내밀면서 동시에 실체 없음에 직면케 한다. 빛이 그린 그림은 일루전이고, 환영이고, 판타지다. 화두 자체다. 나는 있는 것인가 없는 것인가.
고충환 (Kho, Chung-Hwan 미술평론)
Artist Statement
I am interested in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 visual space (substantial space) and a non-visual space (non-substantial space), and my work deals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such visual or substantial spaces and non-visual, or non-substantial spaces. By “visual space” and “substantial space,” I refer to that experience in which we believe that the world that we see is real and substantial just because we see it. By “non-visual space” and “non-substantial space,” I mean “emptiness,” a particular concept in Buddhist teachings. I am interested in exploring the reality of the visual phenomena we see with notions of space, imagined, real or digital. What is the reality of these visual phenomena? Are they a “fixed” and static reality, because we see them? Are they confined to and within a “fixed” space? Or can we see their reality as the fluidity of space and shifting points of view?
My commitment to exploring space has been felt, heard and seen with my work: carving spaces of everyday existence, path, and place. My approach crosses western philosophy and Buddhist traditions of thought. I find this interdisciplinary approach in my work creates an open discussion of worldviews on art. My investigation into the system of people's recognition in seeing objects is an ongoing question concerning the relation between a substantial visual recognition and a non-visual recognition.
I create light drawings of various images by perforating the surface of black plexi-glass and papers with hundreds of handmade holes that explore “Emptiness,” the most important core of space. My work consists of a light box with plexi-glass and paper attached to the light box. The light and the holes represent emptiness, but at the same time, create the image that is seen. When the viewer comes closer and looks over and around the light drawing's flat surface, there is the mysterious appearance by the viewer's movement and the play of light. The viewer believes he or she sees an apple, where, in fact, no “apple” exists; there are only many holes illuminated by light. The viewer's vision imposes, even fixes, a reality that actually isn't there. In this contradictory way, “light” is “space” of the most substantial and simultaneously non-substantial kind. Finally, in my light drawing there is a meditative aesthetic which prompts the viewer to slow down and attend to the workings of one's own consciousness, to our capacity for constructing visual illusion, and to the emptiness of real space pervading the solidity of what we regard as real.
CHOI, SOO-WHAN
55 Washington St. #265 Brooklyn, NY 11201 U.S.A.
csoodal@hotmail.com
010-4010-0102 (Korea)
Jangheung Atelier #105 5-1 Iryeong-ri, Jangheung-myeon
Yangju-si, Gyeonggi-do South Korea 482-812
Born 1972, Gyeongju, Korea
Lives and works in Seoul and New York
EDUCATION
2004-2006 M.F.A. The School of the Art Institute of Chicago, Chicago, U.S.A.
1993-1998 B.F.A. ChuGye University for the Arts, Seoul, Korea
RESIDENCIES
2009-2012 JangHeung Atelier, Korea
2008 CHEONGJU Art Studio, Korea
2007 THE CANAL CHAPTER, New York
2006 Studios Midwest, Galesburg Civic Art Center, Galesburg, U.S.A.
SOLO EXHIBITIONS
2011 through Thousand Years, Gallery M, Daegu, Korea
2009 Light Wave & Love Wave, ILJU ART, Seoul, Korea
What sees what?, CHEONGJU Art Studio, Korea
2008 From Moment to Moment, ART SPACE H, Seoul, Korea
2005 Walk in Emptiness, Gallery X, Chicago
SELECTED GROUP EXHIBITIONS & TWO PERSON SHOWS
2011 Mural Project, Anguk Station, Seoul, Korea
Minimal Art, Gallery CHUNGDAM, Cheongdo, Korea
2010 Oh, Happy Day!, Lotte Gallery, Anyang, Korea
Light Effect, Lotte Gallery, Daejeon, Korea
Christmas Is All Around, JangHeung Artpark Red space, JangHeung, Korea
2010 ceramic ART & TECHNOLOGY, aT center, Seoul, Korea
ART EDITION 10’, BEXCO, Busan
123 gallery, 123 GALLERY, Seoul
Art Road 77 Art Fair 2th-With Art, With Artist!, Gallery HANGIL, Heyri, Korea
fantastic, Cheongju Art Studio, Cheongju, Korea
my room our atelier, Gana Contemporary, Seoul, Korea
2010 International Fine Art Project, South Africa
Art Amsterdam 2010, Amsterdam, Netherlands
Facing Korea Now, Canvas International Art gallery, Amsterdam, Netherlands
New ARTPARK: Individuals, ART PARK, Seoul, Korea
Art Rotterdam, Rotterdam, Netherlands
Happy New Art, Road to the Museum, Seoul, Korea
2009 LIGHT ON!, Johyun Gallery, Seoul, Korea
Korea Tomorrow, SETEC, Seoul, Korea
The First Noel, Severance Art Space, Seoul, Korea
Daegu Art Fair, Daegu, Korea
Oil's other name, Yeonhui-dong Projects, Seoul, Korea
Velvet Inspiration, KIMI Art. Seoul, Korea
HAECHI Parade, Gwanghwamun Plaza, Seoul, Korea
Cheongju International Craft Biennale, Cheongju, Korea
Living Furniture, Cheongju Art Studio, Cheongju, Korea
The desire & restriction_about a virtual image, LEEAHN Gallery, Daegu, Korea
Christmas in August, Gana Art Gallery, Seoul, Korea
Mad for Furniture, Nefspace. Seoul, Korea
THE INITIATIVE_Seoul, MUE Gallery, Seoul, Korea
Ways of tracing moments, KT Gallery, Seoul, Korea
Truth about retina, Inter Alia, Seoul, Korea
Seoul Living Design Fair 2009, COEX, Seoul, Korea
The tactic confronting with the island, Chungjeonggak, Seoul, Korea
Take out, Curiosity, Seoul, Korea
2008 an interim report, CHEONGJU Art Studio, Korea
Illusion of light, World Culture Open Center, New York
SAIC + DCB, Design Center Busan, Busan, Korea
2007 The 11th Annual Art Under The Bridge Festival, DUMBO, Brooklyn
Canal Chapter Residency Project, New York
Its Me!, Galesburg Civic Art Center, Galesburg, IL
The 2ndAll that is solid melts into air, Chashama, New York
2006 Studios Midwest Exhibition, Ford Center for the Fine Arts, Galesburg, IL
All that is solid melts into air, Gallery 2, Chicago
MFA Thesis Exhibition, Gallery 2, Chicago
Generations, South Side Community Art Center, Chicago
Light Experiments, ATS deep display of SAIC, Chicago
2005 STREET STORIES, Walsh Gallery, Chicago
2004 Nippon U.S.A. / SAIC Presidential Award Exhibition, Chicago
2001 Same Generation & Next Generation, Kwanhoon Gallery, Seoul, Korea
“TA-RAE”, Kwanhoon Gallery, Seoul, Korea
2000 26th AJAC Exhibition, Tokyo Metropolitan Art Museum, Tokyo, Japan
The 5th Art Festival-Graduate School of Arts, Chung-Ang University Art Center, Seoul, Korea
Kwangju Biennale Special Exhibition “forest of Human Beings, Forest of Painting,” Korea
“Art of art” Chung-Ang University Art Center, Seoul, Korea
1999 “TA-RAE” , DongDuk Art Gallery, Seoul, Korea
1998 “TA-RAE” , KongPyng Art Center, Seoul, Korea
1997 BFA Graduate Exhibition, DukWon museum of Art, Seoul, Korea
Up coming New Artists, Inter Gallery Art Center, Seoul, Korea
Neo - 97 The Trend of Korean Art, DukWon museum of Art, Seoul, Korea
“The Great Koguryo Exhibition at the British Museum” Memorial Art Festival
LOGOS Gallery, England
LECTURES
2006 Walk in Emptiness, Ford Center for Fine Arts, Knox College, Galesburg, U.S.A.
Ready-Made Karma, SAIC Auditorium, The School of the Art Institute of Chicago, Chicago
INTERVIEWS
2011/02 Happy Home Vol.282 FEB 2011 P.89
2011/01 VOEF vol. 8
2010/09 ARTPEOPLE Vol.006 SEP-OCT 2010 P.120 ~ P.121
2010/02 LED, Designer’s new reclaimed land, DESIGN VOL.380 FEB 2010 P.136
2009/10/27 LED, creating light art!, MBC Cultural Contemplation, MBC, Korea
2009/03/30 Light Artist_SOOWHAN CHOI, KBS 1TV Cultural Field, KBS, Korea
2006/07/26 Studios Midwest, Galesburg Radio 14 WGIL, Galesburg, U.S.A.
AWARDS
2006 Fred & Susan Novy Leadership Award, The School of the Art Institute of Chicago, Chicago
2005 Targetti Light Art Award, Florence, Italy
2004 Nippon U.S.A. / SAIC Presidential Award, Chicago, U.S.A.
COLLECTIONS
LIG Insurance Co., Ltd., Seoul, Korea
Dongseo University, Busan, Korea
Ocean Hills Country Club, Cheongdo, Korea
FAWOO Technology, Korea
Michael Aram, Inc., New York
Galesburg Civic Art Center, Galesburg, IL
Targetti Sankey S.p.A., Florence, Italy
VOA Associates, Inc., Chicago
LEASECORP, Chicago
최수환의 작업노트
나의 작품 (light drawing)은 손으로 직접 검정색 아크릴 판(plexi-glass)이나 종이(museum board)에 수만 개의 구멍들을 뚫는 것으로 시작된다. 이러한 구멍들은 공간(space)의 가장 중요한 요소인 빔(emptiness)을 의미한다. 빛(형광등 혹은 LED), 아크릴 판(plexi-glass), 종이(museum board)등으로 이루어져있는 나의 작품에서 빛(light)과 수만 개의 구멍들은 빔(emptiness)을 의미하는 동시에 형상(image)을 나타낸다. 관객들의 움직임과 빛의 어른거림 그리고 구멍의 다양한 크기들로 인해 평평한 작품표면이 입체적으로 보이는 신비한 시각적 현상을 관객들은 경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관객들은 내 작품에서 사과(apple)의 형상을 보았다고 믿을 수 있으나 사실은 사과는 존재하지 않는다. 다만 수만 개의 구멍들을 통해 비추어지는 빛들만이 존재한다. 관객들의 사고는 실제하지도 않는 본질에 대해 너무나도 강요당하거나 혹은 고정되어있는지도 모른다. 그러므로 빛(light)은 이러한 모순성에 있어 가장 실제적인(substantial) 동시에 가장 비실제적인(non-substantial) 공간(space)이다.
나의 작품은 관객들을 차분하게 혹은 평온하게 만드는 명상적 미(meditative aesthetic)를 그리고 관객들 자신의 의식작용, 시각적 환영을 형성하는 능력 그리고 우리가 실재(real)라고 여기고 있는 실제공간의 빔(emptiness)에 대한 인식의 견고성을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수반한다.
최근 작품들을 통해 미의 물질성 보다는 본질의 실체성을 다루는 것에 더욱 주목하는 나는 인공의 빛(artificial light)을 통해 보여지는 사진같은 이미지를 형상화하는 것에 관심이 있다. 이 빛은 우리들에게 형상(image)을 파악하게 함과 동시에 빔(emptiness)을 볼 수 있게 한다.
항상 열정적이며 어둠에서 뭔가 갈망하던 빛이 되어준 작품
최수환의 작품은 빛과 어둠의 연결고리이며 최수환작가가 그토록 갈구하던
대중과의 소통이 아닐까하는 결론을 지어본다
앞으로 그의 작품들이 기대가 되며 많은 작품들을 만들지라도
절대 원본적 의미의 작품에 경의를 표한다